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파이썬 15

파이썬 강좌_#16_리스트 내포 리스트내포란?리스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입니다. 오늘은 리스트내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트내포에서 많이 사용되는 함수는range()append()insert()pop()등이 있습니다. 또한 리스트 내포는 문장내에서 리스트를 생성하고 for문, if문을 사용하여 매우 효율적인 코드 작성이 가능합니다. 2024. 11. 10.
파이썬 강좌_#15_람다함수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그동안 다들 잘 지내셨는지요? 그동안 저는 잘 지내지 못 했습니다. 제가 처음 블로그 운영을 시작했을때가 13살쯤 이었습니다. 하지만 고2인 지금, 과연 어린시절의 나보다 훨씬 더 열심히, 부지런히, 열정을 다해서 인생을 보내는가?하고 스스로에게 물어본다면 망설임없이 False라고 대답하겠습니다. 멋진 미래를 꿈꾸던 초6의 소년에게 현재의 나의 초라한 모습을 보여준다면 어디론가 숨어버리고 싶군요. 그렇지만 분명 그 초라한 모습속에서도 전보다 성장한 부분도 분명 있습니다. 저는 타고난 재능은 없지만 누구보다 더 열심히 할 수 있고 누구보다도 더 큰 열정과 꿈을 가진 사람이라고 스스로에게 항상 얘기하곤 했습니다. 글을 올리지 않았던 지난 4년간 많은 시련이 저를 지나.. 2024. 11. 7.
파이썬 알고리즘_#02_버블정렬 오늘은 가장 기초적인 알고리즘인 버블 정렬을 배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버블 정렬은 첫 번째 값과 두 번째 값을 비교해서 두 번째 값이 더 작으면 첫 번째 값과 자리를 바꾸는 알고리즘입니다. 아래의 예제를 보며 코드를 해석하겠습니다. numbers = [3, 7, 8, 2, 5] def order(arr): for f_index in range(0, len(arr)): for s_index in range(f_index+1, len(arr)-1): if arr[f_index] > a[s_index]: temp = a[f_index] arr[f_index] = arr[s_index] arr[s_index] = temp return arr print(order(numbers)) 먼저 numbers라는 리스트를.. 2020. 6. 8.
파이썬 강좌_#13_함수 함수는 우리가 쓰고 싶은 코드를 미리 프로그래밍한 뒤 필요할 때 응용하여 출력할 수 있게 하는 기능입니다. 함수의 구조 def 함수명(매개변수): def는 함수를 만들 때 사용하는 예약어이며 함수 이름은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매개변수와 인수 매개변수는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받는 변수를 의미하고 인수는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을 의미합니다. def test(a): a + 1 return a print(test(3)) 위의 예제에서 a는 매개변수이고 3은 인수입니다. 그리고 return이라는 명령어가 있는데 return은 결과를 반환한다는 뜻 을 가지고 있습니다. 함수에서 return을 사용하지 않으면 함수의 결괏값이 없습니다. 여러 가지 함수의 종류 입력값이 없.. 2020. 5. 26.
파이썬 강좌_#12_while문 오늘은 while문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while문의 기본구조입니다. a = 10 b = 20 while a>b: a+=1 print(a) print("while문이 종료되었습니다.") while문은 조건에 따라 반복하는 횟수가 결정됩니다. 위의 코드는 a가 b보다 크기 때문에 while문이 작동이 됩니다. while문의 코드 안에는 a에 1을 더해주는 코드가 있는데 while문이 10번 반복되면 a가 b랑 같기 때문에 더 이상 while문이 작동하지 않고 "while문이 종료되었습니다"라는 코드가 출력됩니다. while문의 조건과 반복 while문은 if문처럼 조건을 넣어 반복시킬 수 있습니다. if문의 여러 가지 조건을 while문안에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a = True b =.. 2020. 5. 26.
파이썬 강좌_#11_for문 오늘은 for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for문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or문 사용법 for 변수 in 함수, 리스트, 튜플, 문자열 : 실행할 명령어 'for'라는 예약어를 씁니다. 변수를 선언합니다. 'in'이라는 예약어를 씁니다. 함수, 리스트, 튜플(B011)에서 배울 예정, 문자열 등을 적어줍니다. for문을 이용해 봅시다 아래는 B005에서 배운 리스트를 활용한 for문의 예제입니다. score = [90, 50, 65, 34, 98, 100, 75] for s in score: print(s) 코드 해석 : score라는 리스트를 for의 s라는 변수에 대입시켜 매번 하나씩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for문과 많이 사용하는 range range 함수는 x에.. 2020. 5. 13.
파이썬 강좌_#10_if문 if문이란? 조건을 만족시키면 특정한 코드를 실행시키는 예약어입니다. if문의 구조 a = 2 b = 3 if b > a: print("b is bigger than a") if a > b: print("Not True") if문은 "if"라는 예약어를 쓴다음 조건을 쓴 뒤 ":"콜론을 붙여 주어야 합니다. 콜론을 붙이지 않으면 오류가 납니다. 그리고 파이썬에서는 다른언어와는 다르게 들여 쓰기로 끝을 구분합니다. 들여 쓰기를 하지 않고 다른 코드를 쓴다면 그 코드는 if문 외부의 코드가 되는 것입니다. *주의할 점 : 모든 문장의 들여 쓰기가 같지 않으면 오류가 납니다. if문의 조건문 이제 조건문을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먼저 비교 연산자를 알아볼까요? 비교연산자 설명 a > b a가 b보다 크다.. 2020. 5. 13.
파이썬 강좌_#9_딕셔너리 딕셔너리(dictionary)의 기능은 딕셔너리의 뜻처럼 사전 비슷합니다. 우리는 모르는 것이 있을 때 사전을 보고 지식을 얻어 옵니다. 딕셔너리도 이것과 비슷합니다. 먼저 아래의 예제를 봅시다. a = {"Key1":False, "Key2":10, "Key3":"Test"} print("a") 딕셔너리의 형태 딕셔너리의 형태는 위의 예제처럼 중괄호를 쓰고 Key이름, 값을 적어주면 됩니다. 값에는 Boolean, String, Int, Float 모든 형태의 자료형을 적을 수 있습니다. 딕셔너리 사용 Key를 사용하여 Key의 값을 출력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 = {"Key":True, "Key1":"100.2", "Key2":"TestValue"} b = {"Key3":{ "Key4":"Hello",.. 2020. 5. 12.